대한민국 기획예산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기획예산처는 재정정책, 국가재정운용계획, 예산 편성, 집행 및 성과 관리, 재정 및 공공 혁신 관련 업무를 담당했던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다. 1999년 기획예산위원회와 예산청을 통합하여 발족했으며, 2008년 재정경제부와 통합되어 기획재정부로 개편되었다. 초대 장관은 진념이며, 역대 장관으로는 전윤철, 장승우, 박봉흠, 김병일, 변양균, 장병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
대한민국의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무총리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하며 경제 및 재정 정책 수립과 예산 관리 등 기획재정부의 주요 업무를 관장하는 국무위원이다. - 대한민국 기획재정부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정부 기관에 관한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정부 기관에 관한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 2008년 폐지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2008년 폐지 - 국민중심당
국민중심당은 2006년 자유민주연합 탈당파 의원들이 심대평, 신국환 공동대표 체제로 창당한 중도 정당으로, 중도 노선을 표방했으나 저조한 선거 성적과 후보 사퇴 등의 어려움 끝에 2008년 자유선진당과 합당하여 해산되었다.
대한민국 기획예산처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영어 표기 | Ministry of Planning and Budget |
한글 표기 | 기획예산처 |
한자 표기 | 企劃豫算處 |
가타카나 표기 | キフェクイェサンチョ |
정부 기관 정보 | |
이름 | 기획예산처 |
현지어 이름 | 企劃豫算處 |
![]() | |
설립일 | 1999년 5월 24일 |
설립 기관 | 기획예산위원회 예산청 |
해산일 | 2008년 2월 29일 |
후신 기관 | 기획재정부 |
2.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대한민국 기획예산처는 "정부조직법" 제23조[1] 및 "기획예산처직제" 제2조[2]에 근거하여 설치되었다.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
- 재정 정책 및 국가 재정 운용 계획 기획
- 예산 편성 및 기금 운용 계획안 협의 조정
- 예산과 기금 집행 및 성과 관리
- 재정 혁신과 공공 혁신 관련 사무
3. 연혁
- 1948년 11월 4일 -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동시에 국무총리 소속으로 기획처가 발족하였다.
- 1955년 2월 17일 - 예산 업무는 재무부로, 기획 업무는 복구부 및 건설부로 각각 이관되었다.
- 1961년 7월 22일 - 재무부의 예산국과 건설부의 종합기획국을 이관받아 경제기획원이 발족하였다.
- 1994년 12월 23일 - 경제기획원과 재무부를 통합하여 재정경제원이 발족하였다.
- 1998년 2월 28일 - 김대중 정부에서 기획예산위원회와 예산청이 분리 독립하였다.
- 1999년 5월 24일 - 기획예산위원회와 예산청을 통합하여 기획예산처가 발족하였다.
- 2008년 2월 29일 - 이명박 정부에서 재정경제부와 기획예산처를 통합하여 기획재정부가 발족하였다. 양극화 민생대책 관련 업무는 보건복지가족부로 이관되었다.
4. 조직
대한민국 기획예산처는 시기에 따라 조직 구성에 변동이 있었다. 1999년 5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존속했던 주요 조직으로는 감사담당관, 공보관, 총무과, 기획관리실, 재정기획국, 예산관리국, 예산실, 정부개혁실 등이 있었다. 2002년 2월에는 기금정책국이, 2003년 3월에는 재정개혁국과 재정기획실이 신설되었다.
2004년 5월에는 기획예산처 디지털예산·회계기획단이 설치되어 2008년 2월까지 운영되었다. 2005년에는 조직 개편이 있었는데, 3월에 공공혁신국과 업무지원이 신설되었고, 4월에는 공보관이 정책홍보관리실로 확대 개편되었다. 같은 해 5월에는 공공혁신본부, 산업재정기획단, 사회재정기획단, 성과관리본부, 재정운용실, 재정전략실, 정책기획팀, 행정재정기획단 등이 신설되거나 개편되었다.
4. 1. 간부
대한민국 기획예산처한국어 장관과 차관은 다음과 같다.[1]- 장관
- 차관
4. 2. 하부 조직
명칭 | 기간 |
---|---|
감사담당관 | 1999.05 ~ 2000.02 |
공보관 | 1999.05 ~ 2005.04 |
총무과 | 1999.05 ~ 2005.03 |
기획관리실 | 1999.05 ~ 2005.04 |
재정기획국 | 1999.05 ~ 2003.03 |
예산관리국 | 1999.05 ~ 2005.05 |
예산실 | 1999.05 ~ 2005.05 |
정부개혁실 | 1999.05 ~ 2003.03 |
기금정책국 | 2002.02 ~ 2005.05 |
재정개혁국 | 2003.03 ~ 2005.03 |
재정기획실 | 2003.03 ~ 2005.05 |
기획예산처 디지털예산·회계기획단 | 2004.05 ~ 2008.02 |
공공혁신국 | 2005.03 ~ 2005.05 |
업무지원과 | 2005.03 ~ 2005.05 |
정책홍보관리실 | 2005.04 ~ 2008.02 |
공공혁신본부 | 2005.05 ~ 2008.02 |
산업재정기획단 | 2005.05 ~ 2008.02 |
사회재정기획단 | 2005.05 ~ 2008.02 |
성과관리본부 | 2005.05 ~ 2008.02 |
재정운용실 | 2005.05 ~ 2008.02 |
재정전략실 | 2005.05 ~ 2008.02 |
정책기획팀 | 2005.05 ~ 2008.02 |
행정재정기획단 | 2005.05 ~ 2008.02 |
5. 역대 장·차관
(현 광주광역시)
(현 구미시)